한때 ‘버블’과 ‘사기’의 대명사였던 암호화폐.
하지만 지금 세계 금융의 시계는 다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자산가들과 금융기관들은 비트코인과 디지털 자산인 암호화폐를 이제 '포트폴리오의 필수 자산'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제도권 편입도 급속도로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우리 한국은 여전히 ‘투기 방지’와 ‘규제 중심’의 시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는 어떤 시점에 서 있는 걸까요?
세계 부자들이 ‘달러’를 버리고 ‘암호화폐’로 간다
최근 스위스 투자은행 UBS는 자사 고액 자산가들이 미국 달러 기반 자산에서 벗어나 금, 암호화폐(비트코인, 이더리움), 중국 주식시장 등으로 자산을 이동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다음과 같은 배경을 가집니다:
- 미·중 무역갈등, 달러 신뢰 하락
- 변동성 속에서 안정성과 자산분산 수단으로써 암호화폐 선택
- 금과 함께 정부 통제 외 자산으로서의 기능 강화
UBS는 투자자들이 이제 “암호화폐에 일부라도 노출되지 않는 것이 훨씬 더 위험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암호화폐는 투기가 아닌 "분산과 위험회피 수단"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CEO “암호화폐, 곧 모든 401(k)에 포함된다”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는 최근 트윗에서 “디지털자산인 암호화폐가 곧 모든 미국인의 퇴직연금 401(k)에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401K: 한국의 IRP (개인 퇴직 연금)과 유사한 성격으로, 고용주와 근로자가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은퇴 후에 수령하는 미국식 개인 퇴직 연금계좌
이는 디지털자산이 이제 단순 투자 대상을 넘어 장기적 자산 운용 전략의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또한 암스트롱은 자사 디지털 자산 지수인 COIN50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상위 자산의 성과를 추적하는 새로운 시장 기준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한국은 아직도 ‘사기’부터 의심한다?
한국은 암호화폐에 대해 상대적으로 보수적이고 범죄 방지 중심의 정책 프레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제도화와 법제화 흐름도 서서히 진행 중입니다.
한국의 주요 제도화 현황 (2024~2025)
-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2024년 7월 시행. 자산 분리, 시장조작 금지, 감독 권한 부여
- 디지털자산 회계기준: 2025년 도입 추진. 암호화폐를 기업 자산으로 인식 가능
- FIU 신고제도: 정식 신고된 거래소만 운영 가능. AML/KYC 강화
- CBDC 실험: 한국은행 주도 하에 도매형 디지털화폐 실험 완료 및 시범 서비스 운용중
- 디지털자산 기본법 추진: 증권·비증권 구분, 공시 의무 등 향후 단계별 도입 논의 중
한국도 느리지만 방향은 잡았지만, 문제는 '속도'와 '정치적 의지'입니다.
우리는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
세계는 이미 암호화폐를 ‘금융의 미래’로 보고, 연금, 대체자산, 수탁, 인프라에 통합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여전히 “사기냐 아니냐”만 따지며 산업의 기회를 허비하고 있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 균형 있는 정책 프레임: 보호는 하되 성장도 지원해야
- 공정한 법제화: 증권형·비증권형 구분 → 법적 투명성
- 글로벌 금융 흐름에 맞춘 속도감 있는 규제 개혁
마무리: 암호화폐, 이제는 '진짜 금융'이다
비트코인은 끝났다고 말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는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어디에 포함할지 고민하는 시대입니다.
글로벌 금융 시장은 이미 암호화폐를 연금, ETF, 헤지 전략, 자산운용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고 있으며, 국가 단위의 정책도 규제가 아닌 통합과 제도화 방향으로 전환 중입니다.
지금 우리 한국이 할 일은 묻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 금융의 변화를 따라가고 있는가, 아니면 외면하고 있는가?”
암호화폐는 더 이상 미래가 아닙니다.
이미 도착한 현재입니다.
암호화폐 나의 기화가거 (奇貨可居)
여러분은 기화가거 (奇货可居)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저는 중국 관련 공부를 한 사람으로 사마천의 사기 (인물열전)를 여러 번 읽었고그중 제 뇌리에 큰 영향을 준 얘기가 바로 여불위의 기화가
a1.polijoke.com
'암호화폐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XRP 선물 ETF 출시,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은? (2) | 2025.05.18 |
---|---|
이더리움 가격 급등: 배경과 전망 (4) | 2025.05.15 |
XRP 가격 전망 : 정말 1,000달러까지 갈 수 있을까? (1) | 2025.05.07 |
비트코인 100만 달러 갈 수 있을까? (3) | 2025.05.07 |
미국과 중국의 암호화폐 전쟁 (2)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