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적립식 vs 거치식 투자: 장단점 비교 및 세대별 추천 전략

by 린수꺼거 2025. 3. 10.
반응형

 

 

누구를 막론하고 돈은 늘 부족하다고 느끼고 삽니다.

현실적으로 종잣돈 1억 모으기의 중요성은 다 알고 있지만 그게 또 그리 쉽게 모이는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1억 원의 종잣돈을 다 모을 때까지 기다렸다가 투자를 할 수도 없습니다.

 

보통 사람의 입장에서 그럼 어떻게 투자를 이어가면 좋을지 현실적인 얘기를 해 보고자 합니다.

바로 지금 당장이라도 소액으로 적립식 투자를 하는 방법이고 또 목돈이 모이게 되면 이를 거치식 투자로 바꾸면서 적립식을 계속해 나가는 방법입니다.

 

과연 어떤 투자 방식이 내게 유리할까?

두 방식의 장단점을 알아보고 투자 스타일에 맞는 전략을 세대별로 알아보겠습니다.

 

1. 적립식 투자와 거치식 투자란?

적립식 투자는 일정 금액을 정기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으로, 주로 펀드, ETF, 주식 등에 활용됩니다.

소액으로 시작할 수 있어 부담이 적습니다.

 

거치식 투자는 한 번에 큰 금액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목돈이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단기 시장 변동성에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적립식 투자 장단점

장점

  • 리스크 분산: 시장이 하락해도 꾸준히 매수하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음
  • 소액 투자 가능: 큰 자금이 없어도 누구나 시작 가능
  • 심리적 부담 감소: 시장 변동에 일희일비할 필요 없음

단점

  • 수익률 제한: 상승장에서 초기 투자금이 적어 큰 수익을 얻기 어려움
  • 장기 투자 필요: 단기 투자보다는 꾸준한 장기 투자가 필수

 

3. 거치식 투자 장단점

장점

  • 높은 수익 가능성: 상승장에서 일찍 투자할수록 높은 수익 기대
  • 배당 투자에 유리: 장기 보유 시 배당 수익 극대화 가능

단점

  • 시장 타이밍 중요: 하락장에서 손실 위험이 큼
  • 목돈 필요: 초기 자금이 커야 효과적

 

4. 세대별 투자 추천 전략

 

1) 20~30대 (사회 초년생 및 직장인)

추천: 적립식 투자

  • 초기 자본이 적고, 월급을 활용한 투자 적합
  • ETF, 인덱스펀드 등을 통해 꾸준히 투자
  • 장기적인 복리 효과 활용

2) 40~50대 (중장년층)

추천: 적립식 + 거치식 병행

  • 가용 자금이 늘어나므로 거치식 투자 병행 가능
  • 안정적인 배당주, 채권 ETF 등에 투자
  • 퇴직 후 안정적인 현금 흐름 확보 전략

3) 60대 이상 (은퇴자)

추천: 거치식 투자 위주

  • 안정적인 배당주 및 채권 중심 투자
  • 시장 변동성이 적은 투자 상품 선택
  • 현금 유동성 확보를 위한 포트폴리오 조정

 

5. 결론: 내게 맞는 투자 방법은?

 

투자 방법은 개인의 재정 상태, 투자 성향, 목표에 따라 달라집니다.

초기 자본이 적다면 적립식 투자부터, 목돈이 있다면 거치식 투자 또는 혼합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꾸준한 분산 투자가 가장 중요한 성공 요소입니다.

 

참고로

 

SCHD, VOO, QQQ를 4:3:3 비율로 투자했을 때, 적립식 투자 거치식 투자의 수익률 결과를 보겠습니다.

 

투자 방식: 월 100만 원, 60개월 (5년 ) 투자시의 최종 가치 (1,200만 원 투자) 5년 후 수익률

 

결과 비교 (2019~2024년 기준)

거치식 투자 2,180만 원 +81.7%
적립식 투자 1,960만 원 +63.3%

 

거치식 투자가 적립식 투자보다 수익률이 더 높음 (약 18.4% 차이)
하지만 거치식 투자는 시장 타이밍이 중요하며, 변동성이 클 수 있음
적립식 투자는 변동성을 줄이고, 심리적 부담이 적어 장기 투자에 유리

 

최종 추천 전략:

  • 변동성이 걱정된다면 적립식 투자
  • 장기적인 시장 상승을 확신한다면 거치식 투자
  • 혼합 전략으로 초기 거치 + 적립식 추가 투자 활용 가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