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뉴스 전망

전기차 배터리 소재 부품별 국내 업체 경쟁우위 분석

by 린수꺼거 2025. 3. 12.
반응형

 

 

전기차 배터리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이며, 배터리 성능과 가격이 전기차 시장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국내 배터리 산업은 LG에너지설루션, 삼성 SDI, SK온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배터리 소재 및 부품 분야에서도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 배터리 소재 부품별 국내 업체의 경쟁력을 알아보고 투자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적어봅니다.

 

1.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 부품 및 국내 업체 경쟁력

 

전기차 배터리는 크게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배터리 팩(모듈) 등으로 구성됩니다.

 

한 장의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으며 국내업체별 경쟁 우위도 참고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양극재 리튬이온을 저장하고 방출 (배터리 성능 좌우) 에코프로비엠, LG화학, 포스코퓨처엠 하이니켈 양극재 기술력, 안정적 공급망
음극재 리튬이온을 저장 (배터리 수명 영향) 포스코퓨처엠, 대주전자재료, SKC 고용량 실리콘 음극재 개발
전해질 리튬이온 이동 매개체 (배터리 충방전 속도 영향) 솔브레인, ENF테크놀로지, 후성 고품질 전해액 및 첨가제 기술
분리막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분리 (안전성 결정) SK아이이테크놀로지, LG화학, WCP 내열성, 안전성 우수한 고성능 분리막 생산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및 보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만도 전기차용 고효율 BMS 기술 보유
배터리 팩(모듈) 셀을 조립하여 팩 단위로 제작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전기차 제조사와 긴밀한 협력

 

2. 주요 부품별 국내 업체의 경쟁력 분석

 

(1) 양극재: 배터리 성능의 핵심,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 주도

        주요 국내 업체: 에코프로비엠, LG화학, 포스코퓨처엠

        경쟁력 분석

  • 하이니켈(NCM, NCMA) 배터리 기술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
  • LG화학: 테슬라, GM, 현대차 등에 양극재 공급
  • 에코프로비엠: 세계 최대 NCM 양극재 제조사, SK온과 협력
  • 포스코퓨처엠: 하이니켈 및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개발 확대

        글로벌 경쟁사

  • 중국 CATL, BYD, GEM → LFP 배터리 시장 주도
  • 일본 Sumitomo Metal Mining → NCA 양극재 강자

       국내 업체 강점: 하이니켈 배터리 기술 우위 &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

 

(2) 음극재: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 개발 경쟁

         주요 국내 업체: 포스코퓨처엠, 대주전자재료, SKC

        경쟁력 분석

  • 흑연(Graphite) 음극재: 포스코퓨처엠, 중국 업체와 경쟁
  • 실리콘 음극재: 대주전자재료, SKC가 글로벌 시장 선도
  • 포스코퓨처엠: 천연흑연·인조흑연 음극재 생산

        글로벌 경쟁사

  • 중국 BTR, Shanshan → 흑연 음극재 시장 70% 점유
  • 미국 Sila Nanotechnologies → 실리콘 음극재 기술 우수

        국내 업체 강점: 포스코 리튬 공급망 & 실리콘 음극재 혁신 기술

 

(3) 전해질: 전해액 및 첨가제 기술력 확보

         주요 국내 업체: 솔브레인, ENF테크놀로지, 후성

         경쟁력 분석

  • 솔브레인: 국내 배터리 3사에 전해액 공급
  • 후성: 고순도 전해질 첨가제 개발, LG에너지설루션 공급
  • ENF테크놀로지: 특수 전해액 제조

        글로벌 경쟁사

  • 일본 Mitsubishi Chemical → 고품질 전해액 강자
  • 중국 Tinci Materials → 가격 경쟁력 강함

       국내 업체 강점: 고성능 첨가제 기술 & 안정적 공급망

 

(4) 분리막: 글로벌 시장 1위 SKIET & LG화학

         주요 국내 업체: SK아이이테크놀로지(SKIET), LG화학, WCP

         경쟁력 분석

  • SKIET: 분리막 글로벌 시장 1위(2023년 기준)
  • LG화학: 습식 분리막 기술 우수
  • WCP(웰크론한텍 자회사): 중국과 경쟁 가능한 가격 경쟁력

        글로벌 경쟁사

  • 일본 Asahi Kasei, Toray → 습식 분리막 시장 강자
  • 중국 SEM Corp → 공격적인 생산 확대로 점유율 상승

       국내 업체 강점: 내열성 강화 분리막 & 안정적 공급망

 

(5)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전기차 효율 최적화

        주요 국내 업체: LG에너지솔루션, 삼성 SDI, SK온, 만도

        경쟁력 분석

  • LG에너지솔루션: GM, 테슬라, 현대차에 공급
  • 삼성 SDI: BMW, 폭스바겐과 협업
  • SK온: 현대차·기아, 포드 등에 공급

        글로벌 경쟁사

  • 미국 Tesla, Analog Devices → 자사 배터리 BMS 자체 개발
  • 중국 CATL → 자체 배터리 팩 & BMS 생산

        국내 업체 강점: 자동차 제조사와의 협업 & 고효율 BMS 기술

 

(6) 배터리 팩(모듈): 완성차업체와 협력 필수

        주요 국내 업체: LG에너지설루션, 삼성 SDI, SK온

        경쟁력 분석

  • 배터리 셀 → 모듈 → 팩 단위로 조립하여 완성차 업체에 공급
  • LG에너지설루션: GM, 현대차, 테슬라와 협력
  • 삼성 SDI: BMW, 폭스바겐 등 프리미엄 전기차 배터리 공급
  • SK온: 포드, 현대차 등에 배터리 모듈 제공

        글로벌 경쟁사

  • 중국 CATL, BYD → LFP 배터리 팩 강세
  • 일본 Panasonic → 테슬라 전용 배터리 공급

       국내 업체 강점: 고성능 배터리 팩 제조 기술 & 완성차 업체와 긴밀한 협력

 

3. 결론: 한국 배터리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LG에너지솔루션, 삼성 SDI, SK온이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며, 배터리 소재·부품에서도 강력한 경쟁력 보유
      양극재·음극재, 분리막 시장에서 세계적인 기술력 확보 → 중국과의 경쟁 심화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을 위해 북미 생산 확대 중
      차세대 배터리(전고체 배터리) 개발에서 일본, 중국과 경쟁 중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하이니켈 배터리, 실리콘 음극재, 고성능 분리막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에코프로비엠/에코프로, LG화학/LG화학 우,  포스코홀딩스/포스코퓨처엠을 가장 유망하게 보고 있습니다.

 

한국 전기차 배터리소재 부품은 가히 세계 최고의 기술우위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고 확신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