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뉴스 전망

한국 바이오 (Bio) 산업의 국제 경쟁력과 향후 전망

by 린수꺼거 2025. 4. 10.
반응형

에이비엘바이오가 세계적인 제약사 GSK와 체결한 4조 1천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지난 5일 체결했다고 알려졌네요. 

 

이는 단순한 기술 수출을 넘어, 한국 바이오산업이 가진 플랫폼 기술의 가능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하는 사건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GSK와의 계약, 무엇이 특별한가?

  • 계약 대상 기술: IGF1R 기반 BBB(혈액뇌장벽) 셔틀 플랫폼 'Grabody-B'
  • 총 계약 규모: 약 4.1조 원 (계약금 739억 원 + 단기 마일스톤 741억 원 포함)
  • GSK가 임상, 생산, 상업화 전 과정 비용 100% 부담
  • 계약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및 타우 항체는 제외 (에피톱 독점 확보)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이번 계약은 단순한 기술 이전이 아닌, 플랫폼 기업으로서의 글로벌 입지를 보여주는 결정적 순간"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에비엘 바이오는 이중항체 전문 업체로 저도 한 때 주식을 보유한 업체라서 알고 있었는데 세계 속의 한국 바이오 위상을 드높이는 쾌거를 달성했네요. 

 

오늘은 한국 바이오 산업의 국제 경쟁력과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현주소와 국제 경쟁력, 미래 전망

 

한국 바이오 산업은 기술 중심의 수출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K-바이오’라는 브랜드를 각인시키고 있습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현황, 경쟁력, 주요 기업, 그리고 향후 성장 가능성까지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의 현주소

 

과거 내수 위주의 제약 산업에서 출발한 한국 바이오산업은 이제 글로벌 기술 수출의 선두주자로 변모하고 있습니다.

  • 기업 수: 약 2,800개 이상 (상장사 약 150곳)
  • 산업 규모: 약 20조 원 이상 (R&D 및 생산 중심)
  • 연간 수출액: 약 10조 원 (2023 기준)
  • 고용 인력: 약 10만 명 이상
  • 정책 지원: K-바이오 백년대계, 바이오헬스 빅3 전략 등

 

 

한국 바이오 산업의 국제 경쟁력

주요 경쟁 분야

 

분야 경쟁력
항체의약품 세계 최초 바이오시밀러 개발(셀트리온), 이중항체·BBB 셔틀 등 플랫폼 기술 강화
CDMO 삼성바이오로직스, SK바이오사이언스 중심 글로벌 위탁생산 역량 확보
백신 국산 백신 개발 및 수출 경험 보유
세포·유전자 치료제 GC셀, 큐라클 등 차세대 치료제 기업의 기술 발전

 

주요 기술수출 사례

  • 에이비엘바이오 – GSK와 4.1조 BBB 셔틀 기술이전
  • 지아이이노베이션 – 사노피와 1.5조 면역항암제 기술이전
  • 한미약품 – 로슈·사노피와 다수 신약 기술수출
  • 레고켐바이오 – ADC 기술 다수 글로벌 제약사 이전

 

대표 바이오 기업 소개

 

기업명 분야 특징
삼성바이오로직스 CDMO 세계 최대 위탁생산 기업, 글로벌 빅파마 생산 파트너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세계 최초 바이오시밀러 상용화, 유럽 시장 점유율 강세
에이비엘바이오 플랫폼 항체기술 이중항체·BBB 셔틀 기반 GSK 등과 대규모 기술이전
한미약품 신약·제약 R&D 중심, 다수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수출
지아이이노베이션 면역항암제 사노피와 1.5조 기술수출, T세포 조절 플랫폼 보유

 

향후 성장 가능성

 

  1. 고령화에 따른 치료제 수요 증가 – 치매, 파킨슨 등 CNS 질환 타깃 시장 확대
  2. 플랫폼 기술 기반 협업 증가 – 빅파마들이 자체 개발보다 외부 기술 도입 선호
  3. 정부 정책 지원 확대 – 규제 간소화, R&D 지원, 신속 심사 등
  4. CDMO + 기술수출 융합 구조 – 위탁생산 기반에서 공동개발로 발전

 

마무리 

 

  • 한국 바이오 산업은 단순 추격 단계를 넘어 글로벌 파트너로 도약 중
  • 항체의약품, CDMO, 백신, 플랫폼 기술 등에서 세계적 성과 확보
  • 지속적인 기술수출과 글로벌 협업 확대로 성장성 매우 높음

이제는 '기술 수입국'이 아닌, '기술 수출국'으로서 한국 바이오가 세계 시장을 이끌어가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고령화 시대 생명연장의 꿈!

한국 바이오가 함께 합니다.

 

한국 바이오 산업은 2차 전지, 방위산업, 조선업, 반도체 등과 같이 한국의 차세대 대표 먹거리 산업이 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