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26

과외비 아껴 SCHD에 장기 투자하면? 어제 후배와 한 잔 하며 투자에 대한 얘기를 했습니다.무엇보다 SCHD에 투자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아주 기뻤습니다. 한동안 과외비로 망설이더니 그래도 과감한 결심을 한 것 같습니다. 아이들의 미래에 큰 힘이 될 부자의 길로 들어선 것 같아 기쁘고, 가족모두가 이제 계좌가 불어나는 만큼 마음도 삶도 넉넉해질 것이라 믿습니다.우리나라 교육열이 지나치지요.과외비도 비싸고, 학원 몇 개 다니느라 애들도 힘들고 부모들도 힘들고, 그러니 결혼해도 애 낳기 주저하고 출산율 꼴찌가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2023년 기준 학생 1인당 월평균 과외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초등학생40.6만 원중학생43.3만 원고등학생45.4만 원*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하는 공식 자료(사교육비 조사)를 기반으로 산출 정말 이렇게 많은.. 2025. 3. 31.
AI Agent가 뭐야? 우리 사회는 어떻게 바뀔까? 요즘 AI 얘기 많이 들리죠?그중에서도 최근 가장 핫한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AI 에이전트(AI Agent)"일 것입니다.생소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앞으로는 일상에서도 흔히 마주치게 될 존재입니다.그럼 AI 에이전트가 뭔지, 그리고 이게 우리의 삶과 사회를 어떻게 바꿀지 한번 쉽게 풀어보겠습니다.1. AI 에이전트란? 한마디로 말하면, AI가 사람처럼 ‘스스로 판단하고 일까지 처리하는’ 인공지능입니다. 예전에는 AI가 질문에 답을 해주는 정도였다면, 이제는 목표를 이해하고, 알아서 계획 세우고, 일까지 해내는 AI가 등장한 것이지요. 핵심구성요소:  인식 (Perception): 데이터를 받아들여 상황을 파악계획 (Planning): 목표를 설정하고 경로를 작성실행 (Action):  API호출, .. 2025. 3. 30.
토끼의 지혜: 교토삼굴의 경제적 의미와 투자 전략 “교토삼굴(狡兎三窟)”이라는 고사성어를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이 말은 단순한 옛이야기처럼 들릴 수 있지만,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경제적 생존과 투자 전략에 있어 매우 실질적인 교훈을 줍니다. 이 글에서는 ‘교토삼굴’의 유래부터 그것이 말해주는 경제적 통찰, 그리고 우리가 어떤 투자 전략으로 응용할 수 있을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토끼의 지혜에서 배우는 경제와 투자 전략을 배우러 가 보겠습니다.1. 교토삼굴의 뜻과 유래 **교토삼굴(狡兎三窟)**은 “영리한 토끼는 굴을 세 개 파둔다”는 뜻으로, 위기 시 탈출구를 여러 개 마련해두는 지혜를 의미합니다.유래:제나라의 명재상 맹상군의 식객 중 의리와 가신의 전형인 풍훤(馮諼)이 맹상군에게 말하길“뛰어난 토끼는 굴을 세 개 만들어 하나가 무너.. 2025. 3. 29.
단타로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와 현실적 대응 전략 요즘은 주식이든 암호화폐든 투자하는 사람이 주위에 많습니다.대략 30~40% 인구가 투자자인 듯합니다.  그런데 이상하리만치 돈을 벌었다는 사람은 드뭅니다.투자 방식의 문제인지, 투자 마인드셋의 문제인지 아니면 급하디 급한 한국인의 성격 때문인지 하여간 드뭅니다. 일단 투자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으면 단기에 돈이 벌리는 모습을 보고 싶어 하는 듯합니다.‘단타로 한 방에 돈 벌자’는 생각은 많은 투자자들이 처음 시장에 들어올 때 품는 생각인 듯합니다.하지만 현실은 아주 냉혹합니다. 통계적으로도 단기 매매로 꾸준히 수익을 내는 개인 투자자는 5% 미만이라는 분석이 있습니다.그렇다면, 왜 단타는 실패 확률이 높은가? 그리고 수익을 내기 위한 대응 전략은 무엇인가? 오늘은 이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1. 단타 매매.. 2025. 3. 29.
공매도가 국내 증시에 미치는 영향 2023년 11월 5일에 무차입 공매도 차단을 이유로 금지됐던 공매도가 오는 31일 (월)에 재개한다고 하지요.개미들에겐 뭔가 시장의 악재처럼 다가오는 느낌일 것입니다. 사실 제가 개별종목보다는 지수 ETF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도 이런 불공정한 게임 때문이기도 합니다.인위적 주가 왜곡이 일어나는 국내 개별 종목보다는 오랜 시간 경험과 실적으로 증명하는 미국 지수 ETF를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31일 재개하는 공매도 관련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공매도(空賣渡, Short Selling)란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빌려 매도한 후, 가격이 하락했을 때 다시 사들여 차익을 얻는 투자 전략입니다. 국내 증시에서는 이 제도가 시장의 효율성과 유동성을 높인다는 명분으로 도입됐지만, 개인 투자자들.. 2025. 3. 28.
리플 XRP: 암호화폐의 끝판왕 가상자산을 가장 많이 보유한 고위공직자는 17억 원을 신고한 김혜영 서울시의원으로 나타났으며, 고위공직자 10명 중 2명은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고 1인당 평균 보유액은 3507만 원으로 파악됐다고 합니다. 김 의원은 본인 명의로 비트코인 0.00144591개를 포함한 16종의 코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또 배우자가 가지고 있는 이더리움 0.01226935개, 도지코인 472여 개, 리플 51만 9004여 개, 장남 소유의 리플 3336여 개 등을 신고했습니다.김 의원 다음으로 가상자산이 많은 공직자는 16억 2136만 원을 신고한 최민규 서울시의원으로, 최 의원은 본인 명의로 리플 40만 9551여 개와 아티디움 9402여 개, 애드 4701여 개 등을 보유했다고 신고했습니다. 리플 XRP!!!요놈이 대.. 2025. 3.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