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은 혹시 마시멜로 이야기란 책을 읽어보셨나요?
하도 오래전에 읽은 책이라 기억이 가물거리지만, 책의 핵심 주제는 아직도 기억납니다.
눈앞에 보이는 작은 유혹과 만족을 참고 견디면 언젠가는 그 보상이 주어진다는 얘기입니다.
오늘은 이 마시멜로 이야기를 통해 우리가 애들에게서도 배울 수 있는 투자의 원칙과 철학에 대해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1. 마시멜로 이야기란?
마시멜로 이야기는 1960년대 스탠퍼드 대학교의 심리학자 월터 미셸(Walter Mischel)이 수행한 마시멜로 실험(The Marshmallow Test)에서 유래한 개념입니다.
실험 개요:
- 4~6세 아동들에게 마시멜로 1개를 주고, 15분 동안 먹지 않고 기다리면 1개를 더 준다고 약속.
- 일부 아이들은 참고 기다려 보상을 두 배로 받았고, 일부는 즉시 먹어버림.
- 이후 장기간 추적 연구에서 기다린 아이들이 학업 성취도, 사회적 성공, 경제적 성과에서 더 뛰어남이 밝혀짐.
핵심 교훈: "눈앞의 유혹을 참으면 더 큰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이 개념은 투자 철학과 직접 연결됩니다.
성공적인 투자자는 단기적인 유혹을 이겨내고 장기적인 성장을 추구하는 인내심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 마시멜로 이야기에서 배우는 투자 철학
1) 장기 투자의 중요성 (Long-Term Investing)
실험에서 마시멜로를 참은 아이들 → 장기적인 보상을 위해 단기 유혹을 이겨냄.
투자에서도 단기 차익 실현보다 장기 복리 효과가 중요함.
✔ 워런 버핏의 투자 원칙:
- "10년 이상 보유할 생각이 없다면, 10분도 보유하지 마라."
-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으로 우량 기업을 보유하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
투자 전략:
- 주식 시장에서 단기 급등락에 반응하지 않고, 장기적 관점에서 우량 자산을 보유.
- 대표적인 장기 투자 자산: S&P500 ETF (VOO/SPY), QQQ, 배당 성장주(SCHD).
2) 감정적 투자 vs 이성적 투자
마시멜로를 바로 먹은 아이들 → 감정적 선택 (즉각적인 만족을 원함).
기다린 아이들 → 이성적 선택 (더 큰 보상을 위한 인내).
✔ 투자에서도 감정적 대응(공포, 탐욕)은 수익률을 악화시킴.
- 시장이 폭락할 때 공포에 팔고, 급등할 때 추격 매수하는 행위는 장기적으로 손실을 초래함.
- 감정이 아닌 데이터와 분석을 바탕으로 투자해야 함.
투자 전략:
- 투자 시 감정에 휘둘리지 않도록 사전에 투자 원칙을 정하고,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는 마인드셋 유지.
- 예: "나는 10년 이상 장기 투자할 것이므로, 단기 조정이 와도 매도하지 않는다."
3) 복리 효과(Compound Interest)의 마법
마시멜로 실험의 핵심 원리 → "기다리면 보상이 2배로 증가."
투자에서도 장기적으로 기다리면 자산이 복리로 성장.
✔ 아인슈타인: "복리는 세계 8번째 불가사의다."
- 투자 자산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자(배당, 자본이득)가 다시 투자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조급하게 매매하지 않고 장기 보유해야 함.
투자 전략:
- 배당주 및 성장주에 투자 후, 배당 재투자 + 장기 보유.
- 예: S&P500에 20년 투자 시 평균 연 10% 수익률 → 1000% 이상의 수익 가능.
4) 유혹을 참을 수 있는 환경 조성
실험에서 성공한 아이들은 시각적 유혹(마시멜로)을 피하기 위해 눈을 감거나 딴짓을 함.
투자에서도 유혹(단타 매매, 뉴스에 따른 충동적 매매)을 피해야 함.
✔ 투자 성공을 위해 주변 환경을 통제해야 함.
- 주식 차트를 매일 확인하면 단기 변동성에 영향을 받아 불안감 증가.
- 단타 매매 유혹을 줄이기 위해 장기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불필요한 정보 차단.
투자 전략:
-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후 불필요한 단기 뉴스와 차트 확인을 줄이기.
-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이것이 내 장기 목표에 부합하는가?"를 질문할 것.
3. 마시멜로 실험이 알려주는 투자 원칙
마시멜로 실험은 단순한 심리 실험이 아니라, 성공적인 투자자가 가져야 할 핵심 원칙을 보여줍니다.
① 장기 투자를 통해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라.
② 감정적 투자 대신, 데이터 기반으로 이성적 투자를 하라.
③ 단기 유혹(단타, 뉴스)에 흔들리지 말고 목표를 지켜라.
④ 투자 환경을 조정하여 불필요한 유혹을 최소화하라.
투자는 단기적인 유혹(즉시 수익)을 참을 수 있는 인내심이 중요하며, 장기적으로 복리 효과를 누리는 것이 핵심 전략!
저는 철저한 기업과 산업 분석을 통해 투자 종목을 선정한 뒤, 일단 매수하면 제 맘속의 목표가가 올 때까지 기다립니다.
예로 에코프로란 전기차 배터리 관련 주식을 11만 원대에 사서 100만 원이 넘는 가격에 분할 매도한 적이 있습니다.
일단 주식을 사면 하루하루의 가격 변동을 보지 않습니다. 1주일에 한 번 정도로 가격의 추이만 모니터링할 뿐입니다.
시장의 온갖 FUD에 관심도 없고 또 이런 FUD는 세력들이 일부러 유포시키는 것이란 생각인지라 궤념치 않습니다.
제 투자 경험을 종합한 결과 제 블로그에서 추천하는 SCHD, VOO/SPY, QQQ 등 미국지수 ETF의 장기적 투자만이 일반 개미투자자가 마음 편하게 투자하는 것이란 확신으로 글을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들의 성투를 바라며 글을 마칩니다.
'투자 원칙과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불변의 법칙 : Same as Ever (2) | 2025.03.22 |
---|---|
탈무드로 배우는 유대인의 투자 지혜 (6) | 2025.03.21 |
워런 버핏에게 배우는 주식 투자 성공 비결 (4) | 2025.03.19 |
부자 월급쟁이 아빠 vs 가난한 사장님 아빠 (10) | 2025.03.17 |
부자들만 알고 실천하는 ‘부의 원리’ (8)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