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한국 암호화폐 시장의 대전환: 리테일 천국에서 제도권 시장으로
2025년, 한국 암호화폐 시장이 커다란 구조적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리테일 중심의 천국’에서 ‘제도권 기반의 기관 시장’으로 나아가는 이 시점은 업계뿐 아니라 규제당국과 투자자 모두에게 중대한 분기점이 되고 있다.
한국은 여전히 세계 2위 암호화폐 시장
프랑스 리서치 기업 Kaiko에 따르면, 2020~2025년 동안 한국은 글로벌 암호화폐 법정화폐 거래량의 35%를 차지하며 미국(45%)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4년 12월, 한국 시장은 월간 3,000억 달러라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2025년 3월 글로벌 위기 여파로 거래량이 62% 급감하는 급격한 조정을 겪었다.
시장 구조의 딜레마: 집중도는 높고 유동성은 낮다
업비트는 7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며 독주하고 있지만, 2021년의 86%에 비하면 점유율은 감소세다.
한편, 국내 거래소의 글로벌 점유율은 7%에서 3%로 하락하며 해외 대형 거래소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이는 정치·규제 리스크로 글로벌 투자 흐름에서 소외된 결과다.
알트코인 천국의 그림자
한국 거래소의 거래 자산 중 알트코인이 85% 이상을 차지한다.
하지만 이 구조는 유동성 취약성이라는 큰 리스크를 안고 있다.
특히, 2025년 3월 발생한 WEMIX 해킹 사태 이후 글로벌 마켓메이커들이 철수하면서 가격 괴리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과 CBDC의 부상
USDT-KRW, USDC-KRW 거래쌍 도입으로 한국 암호화폐 시장의 국제화는 진전을 보였다.
월간 거래량은 150억 달러 수준까지 증가했지만, 글로벌 평균(스테이블코인 비중 80%)에는 아직 미치지 못한다.
이에 정부는 외환법을 통한 규제와 함께 CBDC 도입을 병행하고 있다.
기관 투자자 시대의 서막
한국 금융위원회(FSC)는 2025년 하반기부터 기관투자자 가이드라인을 도입해 제도권 참여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는 기존 리테일 중심의 암호화폐 시장을 보다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구조로 탈바꿈시키는 핵심 열쇠가 될 것이다.
코인베이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관의 83%는 암호화폐 보유량을 확대할 계획이며, 약 75%는 비트코인·이더리움 외 자산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현물 ETF 도입 역시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맺음말: 구조 전환의 신호탄, 2025년
2025년은 한국 암호화폐 시장이 리테일 중심에서 제도권 투자 중심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다.
정부의 규제 명확화, 스테이블코인 및 CBDC 확장, 그리고 기관 투자자의 유입이 결합되면서, 한국은 글로벌 암호화폐 생태계에서 보다 신뢰받는 허브로 재정립될 가능성이 크다.
이제 과제는 하나다.
김치 프리미엄에서 벗어나, 글로벌 투자 기준을 따르는 신뢰 시장으로의 도약.
2025년, 그 원년이 될 수 있을까?
'경제 뉴스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원화 강세 (원화 절상) 전망 (2) | 2025.05.07 |
---|---|
K-조선, 1분기 1조2000억! LNG 운반선이 이끈 글로벌 질주 (1) | 2025.05.06 |
한국 화장품 (K-뷰티) : 글로벌 뷰티 강국으로 다시 부상 (2) | 2025.05.05 |
비영리법인·거래소도 가상자산 매도 허용 (3) | 2025.05.04 |
암호화폐가 SWIFT를 대체한다 - 에릭 트럼프 (5)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