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코인

G7 부채 급증과 국채 가격 폭락에 따른 암호화폐 부상

by 린수꺼거 2025. 5. 22.
반응형

전 세계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늘어난 부채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국가 부채의 급증에 따른 국채 가격이 폭락하고 국채 금리가 상승을 이어가는 것은 당연한 귀결입니다.

 

이에 반해 안전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디지털 금인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인 $11만 불을 돌파하며, 안전자산인 암호화폐가 대체 자산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G7 국가 부채의 급증 배경과 국채 가격 폭락에 따른 대체 안전자산으로서의 암호화폐 부상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출처: 블록미디어)

 

전 세계가 마주한 공통된 위기: 국가부채 폭증

 

최근 들어 미국, 일본, 영국 등 G7 주요 선진국의 국가부채가 급증하면서, 국채 시장의 안정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일본의 장기물 국채 금리가 연일 상승하며 국채 가격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단지 한 국가의 문제가 아닌, 글로벌 채권시장 전체의 구조적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실제로 2025년 5월 21일 기준, 미국 30년물 국채 금리는 5.092%로 2023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고, 일본의 40년물 국채 금리는 무려 3.635%까지 치솟으며 역사적 고점에 근접했습니다.

 

왜 이렇게 국가 부채가 늘었나? 원인과 배경 분석

주요 선진국들의 국가채무가 폭증한 배경에는 몇 가지 공통된 구조적 원인이 존재합니다:

 

① 팬데믹 대응 지출: 2020~2022년 각국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막대한 재정을 투입했습니다. 의료, 재난지원금, 실업 보조금 등이 포함됩니다.

 

② 금리 환경의 급변: 팬데믹 기간 저금리로 조달된 국채는 만기를 맞으며 고금리로 차환되고 있고, 이로 인해 이자 부담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③ 감세 정책: 미국은 트럼프·바이든 정부 모두 감세를 시행해 세수가 줄어든 반면, 지출은 늘어난 상황입니다. 미국 의회는 트럼프 감세안으로 10년간 약 2.5조 달러의 재정적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④ 고령화와 복지 부담 증가: 일본, 프랑스, 이탈리아 등 고령화 사회에서 연금과 건강보험 지출이 구조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⑤ 지정학적 불안과 국방비 증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견제 등으로 국방예산이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정부 지출은 늘고, 세수는 줄며, 국채 발행 의존도가 높아진 것입니다.

 

국채 금리 상승과 신용등급 하락의 악순환

국채금리가 상승한다는 것은 결국 국채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투자자들이 해당 국채의 위험도를 더 높게 보고, 더 높은 수익률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10년물 금리는 4.599%, 30년물은 5.092%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국채를 '안전자산'으로 보기 어렵게 만드는 수치입니다.

 

이에 따라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2025년 5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한 단계 강등하기도 했습니다.

 

일본은 더욱 심각합니다.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250%에 달하며, 일본 총리는 “우리 재정이 그리스보다 나쁘다”고 자인할 정도입니다.  GDP 대비 약 250%의 국가부채 비율로 세계 최고의 부채비율입니다.

 

국채가 흔들릴 때, 새로운 안전자산은?

전통적으로 국채는 ‘절대 안전자산’으로 간주돼 왔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부채 위기에 대한 경고음이 커질수록, 투자자들은 새로운 형태의 안전자산을 찾아 나서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비트코인입니다.

2025년 5월 22일 기준,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인 111,361달러를 돌파하며 시가총액 2.2조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JP모건은 “채권시장 위기가 증권·신용시장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블랙록은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으로서 대체 자산 역할을 수행 중”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비트코인, 왜 안전자산으로 주목받는가?

① 발행량 제한: 총 공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되어 있어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없습니다.

② 투명한 통화정책: 중앙은행의 개입이 없는 탈중앙화 구조로 운영됩니다. 

③ 글로벌 접근성: 전 세계 누구나 거래 가능하며, 국경을 초월한 유동성을 가집니다.

④ 법정화폐 회피 수단: 무제한 발행되는 법정화폐에 대한 불신이 커질수록 대안으로 주목받습니다.

 

이처럼 비트코인은 국가 리스크에 의존하지 않는 분산형 자산이라는 점에서, 채권과 법정화폐가 흔들리는 시대의 새로운 ‘안전자산’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맺음말: 시대는 '신뢰'가 있는 자산으로 이동 중

G7 국가들의 재정 건전성 악화와 국채 가격 하락은 단순한 경기 사이클이 아니라, 기존 경제 시스템의 신뢰가 흔들리는 구조적 변화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다시 ‘신뢰할 수 있는 자산’을 찾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향후 글로벌 자산시장 재편은 바로 이 '신뢰'를 기반으로 전개될 것입니다.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 될 수 있을까?

한때 단순한 투기 자산으로 여겨졌던 비트코인이 이제는 ‘디지털 금’으로서의 입지를 점점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피델리티(Fidelity)와 JP모건(JPMorgan) 등 월가의 주요 금융기관들이 비

langyabang.tistory.com

 

암호화폐: 세계는 자산으로, 우리는 투기로

 

암호화폐 : 세계는 '자산'으로, 우리는 ‘투기’로

한때 ‘버블’과 ‘사기’의 대명사였던 암호화폐.하지만 지금 세계 금융의 시계는 다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자산가들과 금융기관들은 비트코인과 디지털 자산인 암호화폐를 이제 '

langyabang.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