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단순한 투기 자산으로 여겨졌던 비트코인이 이제는 ‘디지털 금’으로서의 입지를 점점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피델리티(Fidelity)와 JP모건(JPMorgan) 등 월가의 주요 금융기관들이 비트코인을 바라보는 태도가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트코인의 가치 저장 수단으로써의 가능성과, 그것이 전통 금융 시스템에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 될 수 있을까? 제도권 진입 가속화의 신호들
1. 피델리티: “비트코인은 금에 가까워지고 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중 하나인 피델리티는 최근 보고서에서 비트코인의 위험 대비 수익률을 나타내는 샤프지수가 금과 유사한 수준으로 수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2018~2025 주간 데이터 기준
- 금 샤프지수: 22.48
- 비트코인 샤프지수: 15.95 → 격차 빠르게 좁혀지는 중
물론, 2025년 1분기 금은 30% 이상 급등한 반면, 비트코인은 3.8% 상승에 그쳤습니다.
하지만 ETF를 통한 자금 유입 회복과 함께 시장 심리가 회복되며, 일부 분석가들은 비트코인의 2025년 가격이 최대 44만 달러(약 6.5억 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합니다.
“비트코인은 이제 단순한 변동성 높은 자산이 아니라, 금처럼 안전자산 대안으로서의 기능을 갖추기 시작했다.” – 피델리티 보고서
2. JP모건: “개인적으로 싫지만, 고객은 원하니 거래 허용”
5월 15일, JP모건의 CEO 제이미 다이먼은 글로벌 마켓 컨퍼런스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습니다:
“나는 비트코인을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고객이 원한다면, 우리는 거래를 지원할 것이다.” –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CEO)
JP모건은 암호화폐를 직접 보관(custody) 하지는 않지만, 고객의 자산 내역에 비트코인 거래 내역을 명시하고 중립적 브로커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는 모건스탠리가 현물 비트코인 ETF를 자산관리 고객에 제공하고, 자회사 E트레이드를 통해 직접 암호화폐 거래 도입을 준비 중이라는 흐름과 유사합니다.
3. 제도권 수용이 가속화되는 이유
- 기관 투자자 수요 증가: ETF, 신탁 등 다양한 구조로 비트코인 접근
- 고객 선택권 확대: 은행과 자산운용사들이 고객 요청을 무시할 수 없음
- 달러 불안 및 금리 리스크: 전통 자산 외 대체 투자처 필요성
- 디지털 자산 인프라 성숙: 거래소, 커스터디, 규제 체계 진전
비트코인은 더 이상 “익명성만 있는 범죄 도구”가 아니라 제도권이 통제 가능한 안전자산 대체재로 재해석되고 있습니다.
4. 앞으로의 전망: ‘디지털 금’이라는 위치는 과연 가능할까?
비트코인이 금처럼 국가 위기 시 피난처 자산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다음의 요소가 필요합니다:
- 변동성 완화 (→ 기관 자금이 클수록 자연스레 안정화)
- 더 강력한 규제 및 신뢰 체계
- 글로벌 수용 확대 (특히 아시아, 중동의 국가 펀드)
JP모건이나 피델리티 같은 거대 금융기관이 암호자산을 포용하기 시작한 지금,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 자리 잡는 과정은 이미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무리
과거에는 “비트코인은 사라질 거야”라는 말이 많았지만, 이제는 “비트코인을 어떻게 제도 안에서 활용할까?”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습니다.
변방에서 중심으로 – 비트코인은 지금 디지털 금의 역사적 위치를 차지하려 하고 있습니다.
가치는 바뀌지 않지만, 그 가치에 대한 해석은 시대에 따라 달라집니다.
2025년 현재, 비트코인은 더 이상 실험이 아니라 금융사의 전략적 선택지입니다.
비트코인 FUD로 본 암호화폐 시장 진면목
21세기를 사는 현재도 요지경 같은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을 사기로 몰며 비판하던 트럼프는 선거유세 기간 중, 비트코인 대통령, 미국을 암호화폐의 수도로 만들겠다 공약하며 재선
langyabang.tistory.com
비트코인 왜 가치가 있을까?
비트코인 왜 가치가 있을까? 금보다 우월하다는 전직 펀드매니저의 이유 "비트코인은 그냥 디지털 숫자에 불과한데 왜 가치가 있다고 할까?" 이런 생각, 한 번쯤은 해보셨을 겁니다.사실 많은 사
langyabang.tistory.com
'암호화폐 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 서클 인수설 그 이면의 전략 분석 (4) | 2025.05.22 |
---|---|
G7 부채 급증과 국채 가격 폭락에 따른 암호화폐 부상 (9) | 2025.05.22 |
XRP 선물 ETF 출시, 현물 ETF 승인 가능성은? (2) | 2025.05.18 |
이더리움 가격 급등: 배경과 전망 (4) | 2025.05.15 |
암호화폐 : 세계는 '자산'으로, 우리는 ‘투기’로 (5)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