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뉴스 전망

BIS (국제결제은행) 암호화폐 입장 변화

by 린수꺼거 2025. 5. 10.
반응형

 

 

BIS (국제결제은행)는 세계 주요 60여 개국 중앙은행을 회원으로 두고 중앙은행 간의 협력과 글로벌 금융 관련 논의의 중심 기관으로 소위 레거시 금융의 정점에 있는 은행의 은행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BIS에서 즉 전통 레거시 금융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나와 오늘 소개해 드립니다.

암호화폐는 이제 도도한 물줄기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방향성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국제결제은행(BIS), 암호화폐에 대해 처음으로 긍정 평가

 

최근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보고서에서 비트코인과 암호화폐가 인플레이션 및 통화가치 하락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평가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BIS는 전통적으로 암호화폐에 대해 매우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해 온 중앙은행들의 모임이자 국제기구입니다.

그런 BIS가 암호화폐의 일정 부분 유용성을 언급한 것은 사실상 기존 기조의 변화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BIS의 전통적 입장: ‘신중’ 혹은 ‘비판’ 중심

 

BIS는 오랜 기간 암호화폐를 다음과 같이 평가해 왔습니다:

  • 지불 수단으로 부적절하며 가격 변동성이 크다
  • 비트코인은 에너지 소비가 심하고 환경에 해롭다
  • 암호화폐는 실질적 화폐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대신 BIS는 중앙은행들이 발행하는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를 유일한 디지털 화폐 해법으로 간주해 왔습니다.

 

왜 BIS는 암호화폐를 재조명하게 되었을까?

 

이번 입장 변화에는 몇 가지 중요한 배경 요인이 있습니다:

  • 글로벌 인플레이션 심화: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등에서는 자국 통화 대신 암호화폐를 일상 화폐로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
  • CBDC 개발의 현실적 한계: 아직 많은 국가에서 CBDC는 실사용이 어려운 초기 단계
  • 기관투자자의 유입 증가: 블랙록, 피델리티 등 대형 자산운용사가 비트코인 ETF를 출시하며 시장 신뢰도가 상승

BIS 역시 이러한 흐름을 무시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이번 발언이 갖는 의미: 제도권의 변화 신호?

 

BIS는 이번 보고서에서 암호화폐를 여전히 불완전하고 위험한 자산으로 분류하되, 일정한 상황에서는 ‘실용적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언급했습니다.

 

이는 기존의 전면 부정에서 벗어난 균형적 평가로, 국제 정책 당국자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탄이라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앙은행들이 앞으로 암호화폐를 단순히 배척하는 대신, ‘관리 가능한 공존’ 전략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암호화폐 시장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BIS의 입장 변화는 투자자 심리에 긍정적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제도권 금융기관의 참여 확대에 명분을 제공합니다.

 

동시에 각국의 규제 당국들도 완전 금지보다는 제도화와 규율화 방향으로 입장을 조정할 여지가 커졌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암호화폐 비트코인의 ‘디지털 금’으로서의 위상이 강화될 수 있으며, 제도권 금융 시스템과의 연결도 더욱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BIS, 암호화폐를 무시할 수 없음을 인정하다

 

BIS (국제결제은행)의 이번 발언은 단순한 평가 이상의 함의를 지닙니다.

그것은 바로 ‘암호화폐는 이제 무시할 수 없는 현실’이라는 사실을 제도권이 인정하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물론 암호화폐가 모든 위기에서 완벽한 해답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번 BIS 보고서는 암호화폐가 금융 안정성의 위협이자 동시에 대안이 될 수 있는 이중적 성격을 제도권이 받아들이기 시작했음을 보여줍니다.

 

앞으로의 규제·금융 질서 재편 논의에서 암호화폐는 이제 단순한 주변부가 아닌 본격적인 대화의 중심으로 들어올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출처: 토큰포스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