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상식과 정보41

이토로, 주식 토큰화로 24시간 글로벌 거래 시대 연다 세계적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본격적으로 주식의 토큰화를 선언했습니다.이번에 발표된 이 서비스는 단순한 기능 개선 수준이 아니라,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큰 도약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QQQ, 테슬라, 애플, SPY 등 미국 상장 주식 및 ETF를 ERC-20 기반의 토큰 형태로 24시간 언제든지 사고팔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치 비트코인을 거래하듯 말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토큰화 주식과 거래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전망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토큰화 주식이란? 토큰화 주식은 전통 주식의 디지털 쌍둥이입니다.실제 미국 증시에 상장된 주식 1주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ERC-20 토큰이 바로 그 주인공이죠. 예를 들어, QQQ ETF 한 주가 $500이라고 .. 2025. 7. 31.
전고체 배터리 혁명: ‘3분 충전 20년 수명’ 한국이 주도할 수 있을까? 전고체 배터리란 무엇인가?전고체 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사용하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한 차세대 배터리입니다. 액체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폭발 위험이 거의 없고, 충전 속도가 15배 이상 빠르며, 수명도 최대 20년까지 늘어나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전기차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80% 충전에 30~45분이 걸립니다.하지만 전고체 배터리는 12분, 나아가 3분 충전도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특히 열 안정성, 에너지 밀도, 고속 충전, 장수명 등에서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기술의 한계를 완전히 극복합니다. 전고체 배터리 기술의 핵심: 고체 전해질고체 전해질에는 황화물, 산화물, 고분자(폴리머) 계열이 있으며,.. 2025. 7. 30.
암호화폐 트레저리화 시대: 기업, 퇴직연금, 국가가 선택한 디지털 자산 2020년대 중반에 접어든 지금, 암호화폐는 더 이상 투기성 자산이나 실험적인 기술에 머물지 않습니다.기업의 재무자산, 정부의 자산 구성, 심지어 국민의 퇴직연금까지 디지털 자산으로 구성되는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중심으로 한 ‘트레저리화(Treasuryization)’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금융 질서에 큰 변화를 시사합니다. 아직도 암호화폐를 사기나 투기로 인식하고 있는 수많은 개미와 불나방 같은 투자자들을 위해 암호화폐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고자 본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만, 공부가 되지 않은 이들에게는, 봐도 읽을 수 없고 들어도 이해할 수 없을 터이니 안타깝기 그지없는 마음으로, 현재 기업/기관과 국가가 .. 2025. 7. 23.
JP모건 비트코인 담보대출: 그 의미와 개인에게 주는 혜택 2025년 들어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JP Morgan Chase)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을 담보로 한 대출 상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암호화폐 시장과 전통 금융권의 경계가 빠르게 허물어지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암호화폐 담보대출 제도의 개념부터 실제 적용 가능성, 활용 가능한 코인 종류, 금융권과 개인의 변화까지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1. 암호화폐 담보대출이란?암호화폐 담보대출은 개인이 보유한 암호화폐(예: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를 담보로 맡기고, 그에 상응하는 현금 또는 스테이블코인을 대출받는 금융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코인을 팔지 않고도 현금이 필요한 순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자금 융통.. 2025. 7. 22.
디지털자산 스테이킹 vs 은행 커스터디, 어디에 예치해야 할까? 기준금리 인하가 이어지며 전통적인 예금·적금 상품의 매력도가 낮아진 가운데, 디지털자산을 활용한 '수익형 투자'가 빠르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가상자산 스테이킹과 은행 커스터디 예치 서비스가 있으며, 두 방식은 수익률 구조는 물론 위험도와 접근 방식이 크게 다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두 수단의 수익률과 안정성, 제도화 현황까지 2025년 최신 기준으로 비교 분석해 봅니다. 디지털자산 스테이킹: 예금처럼 보관하고 이자 받는다스테이킹(Staking)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암호화폐를 일정 기간 예치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해당 자산의 형태로 받는 투자 방식입니다. 은행의 예·적금처럼 정해진 기간 동안 자산을 묶어두고 이자를 받는 구조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 주요 거래소(예: 빗썸.. 2025. 7. 17.
은행이 암호화폐를 맡아준다고? 커스터디 서비스의 모든 것 한때 "은행이 비트코인을 다룬다"고 하면 웃음이 나왔던 시절이 있었습니다.하지만 이제는 현실입니다. 미국의 주요 연방기관이 암호화폐 커스터디(수탁서비스)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의 본격적인 융합이 시작됐습니다. 오늘은 은행의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커스터디란 무엇인가?커스터디(Custody)는 자산 보관 서비스입니다.증권이나 현금처럼 암호화폐도 보관이 필요하죠.일반적으로 개인 투자자는 거래소 지갑이나 개인 월렛에 보관하지만, 보안 사고나 해킹 위험은 여전합니다. 그래서 전문 수탁기관이 고객 자산을 대신 보관하고, 때로는 운용까지 해주는 것이 바로 '커스터디 서비스'입니다.그중에서도 은행이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라.. 2025. 7.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