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은 언제쯤 1억 원을 돌파할까?…
많은 투자자들이 장기적으로 꿈꾸는 가격입니다. 하지만,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가 먼저 짚어야 할 질문은 “2025년 안에 현실적으로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겠죠.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 다시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특히 이더리움은 '네트워크 효과', 'RWA 성장', '스테이킹 ETF', '공급 제한'이라는 4박자를 맞추며 상승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다는 분석이 잇따릅니다.
그리고 저 역시, 이번 상승장에서 이더리움이 최소 10,000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언젠가는 5천만 원, 1억 원도 간다고 믿고요.
이 포스팅에서는 최근 나온 전문가 예측들과, 잘못된 기사 속 오해, 그리고 이더리움이 진짜로 주목받는 이유를 쉽고 재미있게 정리해 드립니다.
목표가 $18,000? - 전문가들의 공격적 예측
암호화폐 분석가 MrDegenWolf는 이더리움이 2025년 말까지 $18,000까지 오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총 7가지 상승 근거를 들었는데요, 그중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스테이블코인 시장 확장 (특히 USDT 수요 증가)
-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 가능성
- 기관들의 이더리움 보유 확대
- 전통 금융 자산 대비 매력 상승
- 온체인 활동 및 NFT/DeFi 활성화
- 30% 이상 스테이킹된 공급량 = 유통량 감소
이런 논리는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그러나,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스테이블코인 대부분은 이더리움 기반”은 틀렸다?
기사 중 한 문장은 이렇게 말합니다.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이 이더리움 기반으로 발행된다.”
하지만 이는 현재 기준으로는 사실이 아닙니다. 테더(USDT) 유통량의 60% 이상은 트론(TRON, TRC20) 네트워크 기반입니다. 이더리움(ERC20)은 약 30~35% 수준에 머물고 있죠.
즉, "스테이블코인 → 이더리움 수요 증가"는 과거의 논리일 수 있고, 현재는 다른 성장 논리를 찾아야 합니다.\
진짜 성장 동력: RWA, 기관, 그리고 스테이킹
1. RWA(Real World Assets) 시장 급성장
RWA는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에 토큰화한 자산입니다.
부동산, 채권, 주식까지 포함되며, 블랙록, JP모건 등 거대 금융사들이 뛰어들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RWA 플랫폼은 이더리움 또는 EVM 호환 네트워크에서 운영됩니다.
이는 이더리움의 네트워크 수요를 구조적으로 끌어올리는 핵심 요인입니다.
2. 기관 자금, 스테이킹 ETF로 유입될까?
그레이스케일, 피델리티, 21 셰어스 등 굵직한 기관들이 스테이킹 가능한 ETH ETF 승인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이게 승인되면 기관 자금이 스테이킹 물량으로 바로 유입되며, 공급 부족 현상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3. 공급량의 30% 이상이 이미 잠겨 있다
현재 이더리움의 약 30% 이상이 스테이킹 중이며, 이는 시장에서 유통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공급이 줄어들면 자연스럽게 가격은 상승 압력을 받게 되죠.
나의 기대: 현실적인 1만 달러, 충분히 가능하다
개인적으로 저는 2025년 안에 이더리움이 $10,000를 돌파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 RWA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 기관들이 실제로 이더리움을 사고 있으며
- 이더리움이 여전히 스마트컨트랙트 시장의 중심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18,000이나 $25,000 같은 수치는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은 희망”입니다.
우리는 “환상보다 근거”를 가지고 투자에 임해야 하니까요.
이번 장에서 $10,000 도달만 해도, 저는 충분히 성공한 장이라 생각합니다.
그 이후의 목표, $50,000 혹은 1억 원은 그다음 장에서 이야기해도 늦지 않겠죠.
마치며: 시장은 혼란 속에서도 기회를 준다
이더리움은 여전히 디지털 경제의 중심에 있고, 단기 조정이나 가격 하락에도 그 본질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2025년, 우리는 이더리움의 또 다른 장을 목격할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건 자신만의 기준, 공부, 그리고 인내입니다.
언제나 그렇듯, “공포에 사고, 환희에 팔라”는 격언은 여전히 유효하니까요.
이번 사이클에서 ETH $10,000을 함께 맞이하길 기대하며, 꾸준한 공부와 관찰을 놓치지 맙시다!
물론 실질적 매도 금액은 1천만 원부터 걸어두겠지만요.
마치 XRP 가격을 $13달러로 보고 1만 원부터 매도를 걸어두는 것과 같은 이치이지요.
다들 성공투자 기원하며 이만 마칩니다.
'경제 뉴스 전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 금융청 “은행의 암호화폐 투자 허용 검토”…XRP가 주목받는 이유는? (0) | 2025.10.21 |
---|---|
XRP, 공포 속에서 희망을 매수하다 – 투자자의 철학과 최근 시장 진단 (0) | 2025.10.20 |
2차전지 ETF 반등, 끝인가 시작인가? 아직 멀었지만 믿고 기다리는 이유 (1) | 2025.10.19 |
리플, Gtreasury 10억 달러 인수…XRP 생태계에 불붙나? (0) | 2025.10.17 |
리플(XRP)의 ‘진짜 시대’가 온다 — 은행 시스템부터 ETF, 아프리카, 그리고 월가까지 (0)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