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호화폐 코인

XRP 가격 억제설, 블랙록과 SBI의 그림자?“

by 린수꺼거 2025. 9. 21.
반응형

유명 금융 전문가가 리플 XRP 가격의 침체가 우연이 아니라 주요 기관들의 협력적인 노력의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다고 암호화폐 전문매체 크립토 베이직이 2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은 강세장과 약세장을 비교적 단순하게 설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리플(XRP)만큼은 다릅니다.

 

커뮤니티에서는 수년째 “가격 억제설”이 꾸준히 회자되고 있습니다.

“기관들이 일부러 가격을 눌러 저가 매집한다”, “블랙록 같은 글로벌 금융사가 배후에 있다”는 식이죠.

 

단순한 루머 같지만, 이 얘기가 끈질기게 살아남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SBI–리플–블랙록의 연결고리와 억제설의 배경, 그리고 실제로 우리가 살펴야 할 데이터 지표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억제설의 주요 근거: SBI와 블랙록

리플의 최대 파트너이자 주주 중 하나는 일본의 SBI 홀딩스입니다.

일본 송금·결제 시장에서 리플을 직접 활용하는 전략 파트너이기도 하죠.

 

그런데 이 SBI 홀딩스의 일부 지분을 글로벌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들고 있다는 점이 종종 언급됩니다.

즉, “블랙록이 XRP와 간접적으로 연결돼 있다 → 블랙록이 가격 억제 후 저가 매집을 노린다”는 추론이 만들어지는 겁니다.

하지만 블랙록은 전 세계 거의 모든 주요 상장사의 소수 지분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ETF 운용 특성 때문이지, 특정 기업 지배력 행사와는 별개라는 점도 함께 기억해야 합니다.

 

2. 왜 이런 얘기가 설득력을 얻는가?

① ‘accumulate then markup’ 서사

전통 금융에서도 기관이 먼저 저가 매집을 한 뒤 상승장을 여는 전략은 흔히 이야기됩니다.

암호화폐에서는 유동성이 얕고, 파생상품을 통한 숏 압박이 쉽기 때문에 “기관이 가격을 일부러 눌러놓는다”는 서사가 설득력을 얻습니다.

② 과거 금융기관들의 조작 전례

2020년 JP모건은 귀금속 시장 스푸핑 혐의로 9억 달러가 넘는 벌금을 냈습니다.

이런 사례가 있기에 “대형 기관이 조작할 수 있다”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퍼집니다.

③ 리플의 독특한 공급 구조

매달 풀리는 에스크로 물량, 규제 리스크, 재단의 판매 이력 등은 “공급이 시장을 압박한다”는 심리를 만듭니다.

이는 곧 “억제설”의 좋은 먹잇감이 됩니다.

 

3. 하지만 증명은 어렵다

억제설은 매력적인 스토리지만, 실제 증거를 제시하기는 어렵습니다.

  • 소수 지분 = 통제권 아님: 블랙록의 지분은 대부분 패시브 투자 성격.
  • 법적 리스크: 시장 담합은 명백히 불법. 글로벌 기관이 장기간 공모했다면 기록이 남을 수밖에 없습니다.
  • 시장 상관성: XRP 가격 흐름은 BTC·ETH와 유사한 경우가 많아, 특정 억제만으로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4. 왜 억제설은 계속 살아남는가?

  1. 상대적 성과 박탈감: BTC와 ETH가 오를 때 XRP가 덜 오르면 억제설이 부상합니다.
  2. 규제와 소송의 기억: SEC 소송은 오랫동안 XRP에 ‘디스카운트’ 이미지를 남겼습니다.
  3. 시장 구조: 유동성 얕은 시간대에 가격 변동이 커서 “누군가 조작한다”는 체감이 강합니다.
  4. 커뮤니티 문화: 확증편향과 밈 공유로 작은 정황도 큰 증거처럼 퍼집니다.

5. 관찰 가능한 데이터 포인트

억제설을 과학적으로 검증하려면 아래 지표들이 필요합니다.

  • 펀딩비, 베이시스, 오픈이자(OI) → 숏 포지션 압박 여부
  • 거래소 호가 패턴 → 스푸핑·대기 물량 여부
  • 온체인 지갑 집중도 → 고래 매집 정황
  • 에스크로 재예치 여부 → 순공급 확인

 

결론: 억제설은 가능성일 뿐, 확증은 아니다

 

블랙록과 SBI, 그리고 리플 사이의 연결고리는 확실히 흥미롭습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가격 억제 공모를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XRP의 독특한 공급 구조와 규제 이슈, 그리고 투자자들의 기대·실망 심리가 얽히며 이런 음모론이 꾸준히 생겨나는 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건 데이터와 시장의 반응입니다.

가격 억제가 있든 없든, 리플이 실제 파트너십과 결제 네트워크 확장에 성공한다면 그 가치는 시장에서 재평가될 수밖에 없습니다.

 

리또속, XRP 가격 설계프레임에 숨은 가격 통제 전략

 

리또속: XRP 가격 설계 프레임에 숨은 가격 통제 전략

여러분은 혹시 "리또속"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는지요? "리또속"은 암호화폐 투자자들 사이에서 아주 유명한 유행어입니다.특히 리플(XRP) 투자자들이 겪은 기대 → 희망 → 좌절 → 반

lyb.polijoke.com

 

728x90
반응형